대통령의 사저 부지 사건, 아들 명의의 토지 취득 의혹의 종
朝鮮日報
2012 년 06 월 11 일 09시 59 분
제공 : 조선 일보
이명박 (이명박) 대통령의 '内谷 동 사가 용지 취득 사건'은 지난해 10 월 초 일부 언론의 지적에 발각되었다.
서울시 서초구 内谷 동에 이명박 대통령이 퇴임 후 살 사저를 짓는 과정에서 용지를 대통령 본인이받지 않고 아들 현 씨 (34)가 취득한 것이 의혹의 핵심이었다 . 법적으로는 사저 용지는 대통령이 주문해야 경호 동은 나라가 건립되어있다.
청와대 (청와대) 빨리 의혹 수습에 나섰다. 청와대의 설명은 예산 어쩔 수 없었다라는 것이었다. 청와대는 "2010 년 국회가 계상 경호 시설 예산은 40 억원 (약 2 억 7000 만원)에 해당 금액이 대통령이 살던 강남구 논현동에 건설이 어렵고, 논현동은 주택 밀집 지역을위한 경호상의 문제도 있었다 "고 주장했다. 청와대는 또 현 씨 명의로 토지를 구입한 이유에 대해 "사저 예정지가 밝혀 지자 땅값이 상승하고 예산 부담이 증가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가 당시 발표한 内谷 동 사가 용지는 9 구획 (면적 2605.12 평방 미터)에서 중 3 파티션 (849.64 u) 현 씨와 청와대가 공동으로 구입했다. 토지 대금은 청와대가 42 억 8000 만원 (약 2 억 9000 만 원), 현 씨가 11 억 2000 만원 (약 8000 만원)을 각각 부담했다.
현 씨는 김윤옥 (김윤옥) 대통령 부인이 보유한 논현동 사저 부지의 일부를 담보로 농협 청와대 지점에서 6 억 원 (약 4100 만엔), 백부의이 ・상은 씨로부터 6 억 원을 차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청와대의 공표 의혹은 더욱 깊어졌다. 현 씨는 평균 감정 평가액보다 36 % 싼 가격에 문제 용지를 취득. 반대로 청와대는 비교적 비싼 가격에 취득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청와대가 국고 자금으로 현 씨는 이익을 올리게 것은 아닐까 지적됐다.
이 사건으로이 대통령은 현 씨 명의의 토지를 자신 명의로 다시, 内谷 동 사가 계획을 백지화했다. 사가 계획을 주도한 청와대 金 仁 종 (김 인정) 경호 처장은 사임했다.
하지만 민주당, 민주 노동당 등 야당은 지난해 10 월 19 일과 12 월 5 일 대통령 부부와 현 씨, 任 太 熙 (임태희) 전 대통령 실장, 金 仁 鍾元 처장 등 7 명을 배임과 부동산 실명 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