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awabi.2ch.net/test/read.cgi/news4plus/1375359819/
1 : 돌아온 일 코나캇타 원래 성우 φ ★ 2013/08/01 (木) 21:23:39.64 ID :?
한국 정부의 법무부가 입법 예고중인 상법 개정안은 의무 강제 조항으로 가득 넘치고있다.
상법은 기본적으로 나는 법이다. 규제는 최소화하고 시장 원리를 최대한 보장하는 것이 원칙이다.
그래도 이번 개정안에는 기업의 지배 구조를 획일 화하려는 의도가 노골적으로 스며있다.
세계 어느 선진국에서도 강제하지 않는 집행 임원 제와 집중 투표제의 의무화가 대표적인 것이다.
기업의 선택권을 확대하는 쪽을 향해있는 글로벌 스탠더드와는 거리가있다.
집행 임원 제에 대해 법무부는 "이사가 집행 한 것을 스스로 감독"스스로의 감독 모순 "을 없애기위한 조치"
라고 설명한다. 하지만 일본의 경험과 비교하여 보자. 소니는 집행 임원 제를 채택했고,
도요타는 지금까지의 이사회 구조를 계속 유지했다. 두 회사의 엇갈린 지금의 상황을 보면,
집행 임원 제도가 더 효율적이라고 단언하기 어렵다. 기업의 지배 구조는 정답이 없다는 것이 정답이다.
법으로 강요하기보다는 현행 상법과 기업의 선택 사항으로 남겨 두는 것이 옳다.
의결권을 한쪽에 모아진다 집중 투표제는 소수 주주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효과가있다.
박근혜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기도하다.
하지만 1998 년에 도입 된 집중 투표제를 채택 한 기업은 8 %에 그쳤다.
이제 와서 집중 투표제를 의무화하는 것이 과연 누구를위한 것인지 검토해 볼 필요가있다.
10여 년 전에 SK와 KT & G를 농락 한 소버린과 칼 아이칸의 기억이 선명하다.
대주주는 3 % 룰에 묶여 의결권이 제한된 반면, 그들은 외국계 자본은 5,6 개의 헤지 펀드에
지분을 3 % 미만 씩 분산하여 함부로 경영권을 위협 한 것은 아니었다?
경영권의 횡포에 적절한 견제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것은 잘못된 제도를 보완하여
차분히 해결해 나가야 할 문제이며, 한 번에 법을 바꿔 강제로 수술 할 사안이 아니다.
그동안 한국 대기업의 경쟁력은 대담한 결정과 신속한 집행에 있었다.
외국 기업들조차 부러워 이러한 장점을 깨고까지 집행 임원 제와 집중 투표제를 의무화해야한다인지는 의문이다.
이러한 제도를 도입 한 나라는 20여 개국에 달하지만 실제로 법으로 강제하고있는 나라는 러시아 멕시코 칠레 등 3 개국 뿐이다.
글로벌 경쟁 시대에 어울리지 않기 때문이다.
법무부는 "개정안은 이미 법률에 근거 조항이 있었다 내용을 의무화했을뿐"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전 세계가 헤지 펀드의 폐해를 막고 기업 경영의 자율성을 높이는쪽으로 움직이고있다.
집행 임원 제를 강제하면 구체적인 경영 현실을 잘 모르는 사외 이사가 고급 정책 결정을 내리고 업무를 감독해야한다.
일본은 집중 투표제를 의무화하고 파벌 싸움으로 경영 효율성이 떨어지는 즉시 임의 규정으로 바꾼 것이 아닌가.
한국은 집행 임원 제를 도입 해 1 년에 불과하다. 앞으로 시간을두고 그 효과를 평가 한 후 의무화해도 늦지 않다.
집중 투표제도 헤지 펀드의 폐해를 방지 장치를 정돈 한 후에 도입해야 할 것이다.
근본적으로 상법이 규제를 강화하는쪽으로가는 것이 맞는지 따져 볼 필요가있다.
창조적 경제와 기업가 정신을 고취하려면답지 않은 흐름이다.
http://japanese.joins.com/article/598/174598.html?servcode=100§code=110
이다 : ・ 【중앙 일보】 정부는 한국 기업의 지배 구조까지도 법으로 강제 할 것인지, 국제 표준에 맞지 [08 / 01]
4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25:24.92 ID : e / qGonyJ
한국 법률 따위 있었는지.
20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43:33.13 ID : qnLk12Zg
>> 4
물론 있어요.
언제 【국민 정서법]
5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25:57.96 ID :/ dSCKaGK
왜 일일이 싫어하는 일본을 인용 내는지 네요.
9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27:23.93 ID : XQZGmZCH
국제 기준은 관계없는 나라 이니까 괜찮 니
10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27:40.36 ID : 090JgE7b
> 상법은 기본적으로 나는 법이다.
出どころ는 관습법이지만, 중세 그럼거야 전혀 요
11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28:16.73 ID : EHbaeHRe
그것이 한류라는 녀석 이지요
원래 선진국 그럼 다음
14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30:18.41 ID : 747/hU + s
걱정 하지마 네가 라 곳 법치국가 아니니까.
17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31:44.42 ID : Omr1DjM4
법을 지키지 않는 놈들이 뭐라는거야
19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39:03.94 ID : kQ3al9GO
모두 일본에서 배운 주제에 일본에서 멀어 질수록
안돼 안돼된다 남쪽 정. 정말, 자신을 모른다.
24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48:11.51 ID : nbMweMlx
여러가지 생산력 특화가 극치에, 그것을 한국 사회 전체에 재분배 할 수 있지 않기 때문에군요. 이대로는 일부 사람에 의한 대중의 노예화까지가는 거 잖아요. 위정자로하지 않으면 안된다 것입니다.
26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51:09.98 ID : dtx1jlpZ
어, 기업이 법을 지배하고있는 걸까요?
7 : 마감 (-_-) ◆ sIESzI2jc2 2013/08/01 (木) 21:26:45.02 ID : iyA / LYiR
이것이 중앙 일보의 기사도 것이 재미있는 곳 이구나 w
27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1:51:41.75 ID : nTFBdw7F
과연 삼성 기관지
32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2:06:50.38 ID : IuLmAg / v
형편이 나쁜 것 같다 w
33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2:07:41.26 ID : kVGTxiTK
OINK 국가가 "국제 표준"이라고 ww
34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2:18:46.45 ID : WyoFOzYf
> 한국 대기업의 경쟁력은 대담한 결정과 신속한 집행
설비 투자를 감가 상각하지 않고 이익에 계상 할 수 있으니까 바보도 할 수 있다고의 w
35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2:25:09.04 ID : 1f/2G79J
> 집행 임원 제에 대해 법무부는 "이사가 집행 한 것을 스스로 감독"스스로의 감독
> 모순 "을 없애기위한 조치"라고 설명한다.
한국은 性善説 서 이라든가 윤리에 기대라고하는 것은 무리가 있으니까,
이런 종류의 법의 허점은 철저하게 잡아 두지 않으면 마즈 거죠.
38 : <丶`∀ '> ('・ ω ・`) (`하 ') 씨 2013/08/01 (木) 23:36:33.06 ID : Fw/W0D7Z
나치즘 w
ラベル:법무부